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돌덩이강사 시리즈/돌덩이과장의 건물관리이야기38

돌덩이과장의 건물관리 이야기[1장 시설/건물관리 직업으로 괜찮은가? 08 나이보다 마음가짐이다] 중년 은퇴자나 정년 퇴임 후라면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시설 관련 법정선임 자격증 취득을 시작해 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자격증 불합격의 경험들은 차츰차츰 실력이 되어 다양한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젊은 친구들이 자격증을 취득하기에 유리하다고 생각하겠지만 자격증은 절실한 사람에게 먼저 합격의 축복을 주는 것을 현장근무를 하면서 많이 보았습니다. 나의 경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가족들의 생계와 관리소장이 되지 않으면 노후까지 벌이가 부족하기에 야간근무나 주말 근무 시에는 정말 열심히 공부했던 기억이 납니다. 2021.04.23 - [유용한 정보/취업관련정보] -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필기시험 합격 공부방법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필기시험 합격 공부방법 [전기기사/산업기사 시험에 대하여] 전기기.. 2021. 3. 31.
돌덩이과장의 건물관리 이야기[1장 시설/건물관리 직업으로 괜찮은가? 07 기존의 것을 변형해라] 시설/건물 관리분야에 입사했다가 시설주임으로만 오래 근무해야지 하는 중년 은퇴자들도 보았다. 재산도 조금 있고 근무강도가 아주 높지 않기에 이렇게 안주하는 시설주임들을 여럿 보게 된다. 뭔가 나이 들어서 전기기사/산업기사를 취득하기에는 머리도 안 돌아가고 퇴근 후 술 한잔 하는 것이 낙인데 그렇게 허송세월을 보내고 몇 년이 지나서 연락을 드린 전기기능사 동기형님은 처음에는 '교대근무가 편하기도 하고 70까지 이렇게 다니면 되지 뭐 공부를 해' 라고 말을 하시던 형님이 3-4년이 지난 지금은 요즘은 젊은 친구들이 입사를 하니까 소통도 어렵고 소장들도 자신보다 어린 친구들도 있다 보니 자존심도 좀 상하는 경우도 생긴다고 하였다. 몇 년 전과는 많이 달라진 형님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2021.02.03 -.. 2021. 3. 30.
돌덩이과장의 건물관리 이야기[1장 시설/건물관리 직업으로 괜찮은가? 06 기존의 틀을 깨라] 시설/건물 관리일을 하려면 현장 실무일을 많이 해 보라고 말한다. 하지만 현장실무 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바로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작업을 하는 것을 여러번 보면서 공구도 사용법을 숙지해 가면서 해 보아야 한다. 먼저 선임자들은 비슷한 업무를 최소 1년 이상 했기에 옆에서 보면 쉽게 보일 수도 있지만 초보자가 하게 되면 간단한 것도 어리버리하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 그렇다고 과거 시설주임들이 나에게 이야기 했던 "형광등도 몇 년간 교체를 해봐야 전기과장을 할 수 있다"는 등 그런식의 이야기를 귀담아 들을 필요는 없다. 시설관리에서 주변의 동료들을 보았을 때 90% 이상은 관리자 되는 것을 대단히 부담스러워 하였다. 옆에서 본 시설기사중에 시설관리경력 10년 차에 관리자자격증(전기산업기사 이상)이.. 2021. 3. 30.
돌덩이과장의 건물관리 이야기[1장 시설/건물관리 직업으로 괜찮은가? 05 큰 대형 건물에서 경험을 쌓아야 하는 이유] 사람들은 전기기능사를 취득하고 어떤 건물에 입사를 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물어본다. 그럼 나는 이렇게 말해드립니다. "호 병백마를 제외한 30층 이상 대형건물에서 일을 해보세요".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이 업무환경도 좋고 복리후생이 좋은 것은 다 아실 겁니다. 대형건물일수록 인원도 많기에 근로기준법 준수 및 전기/소방/기계 등으로 보직이 나누어 지기에 근무강도가 부담이 적을 수 있습니다. 연차 등 기본적인 복리후생도 잘 챙겨주고요" 사실 대형건물이 아니더라도 전기/소방/기계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여기저기 건물관리 업체에서 바로 출근하라고 연락이 옵니다. 그러면 대부분의 구직자들은 교대근무 방식이나 업무를 잘 모르기에 빨리 연락이 오는 곳에 취업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되면 실제 입사 후 얼마.. 2021. 3.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