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산업기사16

시설관리 전기산업기사에서 전기기사로 업그레이드가 필요한가? 시설관리 자격증의 꽃이라고 한다면 전기관련 자격증인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라고 생각합니다. 관리소장이 되기위해서는 전기선임이 조건인 전기 2,000KW이상 선임을 걸수 있는 자격을 갖추어야 합니다. 전기산업기사의 경우 경력4년, 전기기사의 경우 2년의 경력이 필요합니다.여기서 과연 전기산업기사를 취득하고 바로 전기기사를 취득해야할까? 하는 고민을 하게됩니다. 돌덩이 강사인 저도 무척고민을 하였던 내용입니다. 돌덩이강사인 저는 여기서 전기산업기사만 취득하고 전기기사는 도전하지 않았는데 이유는 왜일까요?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필기시험 합격 공부방법[전기기사/산업기사 시험에 대하여] 전기기사/산업기사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이루어진다. 필기는 과목별 40점 이상 득점하고 전과목 60점 이상의 평균을 내면 합격.. 2023. 5. 15.
전기선임 신고서류 및 선임방법 안내 돌덩이과장이 드디어 관리소장 경력이 되었네요^^ 아파트는 주택관리사 자격증이 필요하다면 빌딩은 전기기사(경력2년) OR 전기산업기사(경력4년)이 필요한데요. 전기기능사 취득 후 전기과장을 경험한 후 만 4년 만에 지식산업센터 소장이 되었다. 시설자격증 취득정보관련-1부 전기기사 VS 전기산업기사 최근 코로나로 청년층부터 중장년층까지 실업자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자격증관련 취득에 대한 궁금증이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요, 돌덩이강사 제 자신도 40대 중반에 실직 gcbts.tistory.com 막상 신축건물 지식산업센터에 입사하니 방재실 및 관리사무소 셑팅부터 직원채용까지 2주간은 정말 정신없이 보낸것 같다. 3주차 들어 시공사에서 전기선임관련 인수인계를 요청하였고 꿈에 그리던 전기선임관련.. 2022. 11. 2.
돌덩이과장의 건물관리 이야기[3장 02 선임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어떤 사람은 시설관리 분야에 취업해서 몇 년 안에 관리소장이 되는 사람이 있고, 어떤 사람은 10년이 지나도 시설기사를 계속하는 사람이 있다. 왜 시설관리 선임자격증을 취득하지 않느냐고 물어보면 공부머리가 아니다. 다양한 경우의 수가 이ㅣㅆ겠지만나는 관리자를 하는 것이 싫다. 마지막 유형은 그냥 핸드폰 게임에 빠져 있는 경우를 보았다. 나는 시설관리에 취업을 한 후 이 곳 시설관리 동료들에게 이런 말을 자주 들었다. 시설 선임중에 아는 동생이 '형님 선임자격증을 취득해도 6년 정도는 시설기사를 해야 관리자를 할 수 있다'는 등 대부분이 시설관리 관리자 업무를 대단히 어렵게 느끼는 듯한 말투였다. 대부분이 30-40대 연령임에도 혼자 자취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었으며, 그것은 본인의 선택이라 특별한 문제라고.. 2021. 5. 31.
돌덩이과장의 건물관리 이야기[[2장 시설/건물관리 운영, 그 숨겨진 노하우 08 인내심은 성공의 어머니] 시설/건물 관리분야에는 사람을 골라 쓸 만큼 사람이 많지 않다. 나 역시 시설기사 일을 2년 정도 해 보고서야 뭔가를 깨우칠 수 있었다. 시설/건물관리는 몸으로 느껴야 되는 것이지 머리로 느끼면 절대 안된다. 혹여나 현장업무를 한번도 해보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기사/산업기사 자격증이 있다고 관리자로 바로 경험을 하게 된다면 시설과 관련된 직원들과 소통도 힘들 수 있지만 건물관리의 안전을 지킬 수 없다. 나는 성질이 급한 편인데, 어떤 면에서는 인내심이 굉장히 강하다. 이런 성격이 시설/건물관리 분야에서 적응하기에 적합한 성격이다. 처음에 시설관리 분야에 취업이 되었을 때 여의도에 있는 대형건물에서 근무하게 되었는데 건물이 크다보니 70~80명 정도가 20대부터 50대 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시설관리 기사들과.. 2021. 5. 25.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필기시험 합격 공부방법 [전기기사/산업기사 시험에 대하여] 전기기사/산업기사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이루어진다. 필기는 과목별 40점 이상 득점하고 전과목 60점 이상의 평균을 내면 합격한다. 실기는 총점 60점 이상시 합격. 기사/산업기사 군에서는 난이도가 가장 높은 편이기 때문에 전공자가 아니라면 독학으로 준비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각 과목 자체가 대학교 전공과목으로, 책으로만 이론을 이해하는 것은 상당한 수준의 지적능력을 요한다. 돌덩이 강사인 나의 경우에도 서울에서 4년제 공대(화학공학과)수준의 학력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전기기사/산업기사는 인강이 아니였다면 아마 쉽게 취득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아마 전기기사/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할 정도의 머리라면 자격증 공부가 아니라 뭘 해도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비전.. 2021. 4. 23.
돌덩이과장의 건물관리 이야기[2장 시설/건물관리 운영, 그 숨겨진 노하우 01 소장이 되려면 최소 필요 자격증은?] 관리소장이 되려고 준비를 하려다 보면 가장 압박을 받는 부분이 자격증이다. 자격증은 없는데, 막상 중년퇴직 후 세후 300만 원 이상 수입을 벌려면 관리소장이 되는 수밖에 없다. 시작도 문제지만 어떤 자격증부터 따야 하는지 그리고 자격증을 몇 가지를 취득해야 하는지를 고민해야 한다. 중장년 퇴직 시를 기준으로 처음부터 전기산업기사/기사를 취득하려면 실업급여 기간 동안 공부 한다고 해도 자격증 취득이 어려울 수 있다. 빠른 분은 6개월 이내도 가능하겠지만 최소 1년에서 2년 정도의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40대 중반에 퇴직자를 기준으로 실업급여를 받는 기간이라는 전제를 하고 이야기를 하면 전기기능사부터 취득하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2021.02.03 - [유용한 정보/취업 관련정보] - 전기기능사 자격증.. 2021. 4.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