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엔저 현상과 금리 상승이 무슨 상관이 있죠?

by 돌덩이TV 돌덩이강사 2020. 12. 25.
반응형

엔저현상은 달리말하면 엔화통화량이 증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통화량이 증가하여 인플레이션이 유발되면 금리도 같이 따라서 증가합니다.

금리는 항상 인플레이션을 따라서 움직입니다. 일본금리가 십수년간 제로퍼센트인 이유는

물가상승률이 버블붕괴 이후 0-1%밖에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번에 아베노믹스(통화량을 늘려 경기부양)로인해 물가상승률이 1-2%로 올라간다면

금리도 1%이상으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이는 특별히 환율이랑 관계있기보다는 물가에 관련이있습니다.

 

통화량이 증가하면 장기불황인 경제에 전기충격기를 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지만

부채비율이 높은 일본은 역풍을 맞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일본의 정부부채는 연간 GDP의

240%에 육박하며, 이 정부부채는 국채의 형태로 대부분 일본국민의 소유입니다.

국채란 일본 정부가 국민들한테 돈을 빌리고 거기에 이자를 지불하는 것을 말합니다.

현재 일본정부는 연 예산의 25%를 이 국가빚의 이자를 값는데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채권(사채,국채)이란 고정된 이자율로 돈을 돌려받을 수 있는 어음입니다.

지금 내가 정부한테 100만원을 빌러주고 5년후에는 105만원 돌려준다는 것입니다.

경제학기초에서 나오지만 물가가 오르면 돈의 가치는 떨어지고 채무자가 나중에 갚아야할

돈은 실질적으로 줄어들게됩니다. 물가상승률이 -1%이고 국채의 이자가 1%라면

국채를 가지고있는 국민은 실질적으로 2%의 수익률을 내지만 물가상승률이 1%이상이 되버리면

오히려 손해를 보게되니 국민들은 국채를 매도해버릴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국채를

매도하게되면 국채가격은 떨어지며 이는 일본이 사실상 국가부도를 내는 것과 같은 의미가 됩니다.

국가의 국채가격은 그 국가의 신인도를 결정짓기 때문입니다

이를 피하기위해 물가가 오르는 일이 생기면 일본정부는 국채금리를 올려서 수익률을

보장해줘야하며 이로인해 정부가 갚아야할 이자가 배로불어나게되면 일본정부는 사실상

식물정부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것이 일본통화완화정책의 함정입니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