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야비3

돌덩이과장의 건물관리 이야기[1장 시설/건물관리 직업으로 괜찮은가? 03 시설/건물관리 취업을 위해 가장 중요한 준비 사항은?] 시설/건물 관리분야 입사를 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준비사항은 전기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다. 건물/시설 관리분야로 입사하려는 부류는 크게 두 가지다. "청년취업난으로 마땅히 학력도 없는 탓에 사무직은 어렵고 현장업무는 힘들어서 못하겠어 돈은 적어도 좀 편한 일은 없을까?" "중년 조기퇴직 및 은퇴후 국민연금까지 기간이 많이 남았는데 어떤 일을 해야하지? 이런 생각으로 시설/건물 관리분야로 관심을 가지게 되는 시점이 올때가 있다. 전기분야든 소방분야든 기계분야든 최소한의 전기기능사, 소방2급자격증, 기계관련 기능사정도의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시설/건물관리쪽으로 보수를 할 수 있는 신체능력은 있어야한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호병백마"라는 분야로 취업을 할 확율이 높아지기에 이런쪽.. 2021. 3. 25.
시설 교대근무에 대하여 1부[주당비/주야비] 2020년은 코로나로 시작하여 코로나로 끝났다고 할 정도로 굉장히 힘든 한 해였습니다. 3-4년 전 제가 43살의 나이로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을 때 참 막막하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저 포함 아내, 딸 2명 생계유지를 위해 돈이 많이들 어가는 시점이었는데 벌써 벌써 정리대상이 되는구나 기업들의 생존이 촌각을 다툰다고 하지만 40대 가장에게는 크게 다가온 무서운 경험이었습니다 퇴직의 경험을 감상할 시간도 없이 제2의 직업에 대해 고민한 끝에 전기기능사부터 취득한 후 시설관리분야로 직업을 전환하게 되었습니다. 제 개인적인 케이스로는 현재 상당히 만족을 하고 있으며 미래에도 70정도까지는 일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가져봅니다. 서두가 길었습니다. 제가 현재 일하고 있는 시설관리분야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 2021. 1. 20.
코로나 시대 중장년층 시설관리분야 취업관련 안내 2020년은 코로나로 인하여 나라의경제는 물론 개인의 경제또한 심각하게 무너져 내린 한해였습니다. 저 또한 15년간 관리부서의 경영지원팀에서 근무하면서 실직의 경험을 하고 2018년도1월부터 실업급여 4인 가족의 생계를 이어가야하는 위기의 순간이 있었습니다. 다행히도 지금은 시설기사(교대근무)부터 시작하여 현재는 지식산업센터 전기과장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3년전에 43살의 나이에 이길에 들어서지 않았다면 47살인 현재(2021년 기준)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기가 무척 힘들었으리라 생각합니다.(현재는 전기과장의 역활에 만족하며 노후까지 일할수 있음에 한시름 덜고 일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저처럼 힘든시기를 겪는 중장년 분들이 막막한 그 순간에 시설관리분야가 그나마 오래 안정적으로 다닐 수 있.. 2021. 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