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덩이 강사인 저는 2018년 전기산업기사를 취득 후 시설관리경력 4년을 쌓은 후 전기무제한 자격을 얻게 되어 관리소장이 되었습니다. 빌딩은 아파트의 주택관리사와 다르게 다양한 자격증으로 관리소장이 될 수가 있는데 관리소장이 되기 위한 자격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관리소장이 되기위한 자격으로는 전기분야 자격증, 소방분야 자격증, 기계분야자격증 3 분야로 나누어지는데요. 25년 기준 관리소장으로서 주변소장님들과 만나보면 일반적으로 연면적 3만m2 이상인 경우 전기분야> 기계분야> 소방분야 자격순으로 관리소장을 맡고 있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잡코리아에서 랜덤하게 관리소장으로 검색하고 관리소장의 자격에 대한 내용을 캡처한 이미지입니다.

2024년도의 경우 빌딩관리소장을 하기위해 가장 최적화된 조합은 전기선임 자격+기계 고급이상 겸임선임자격이 1순위로 각광을 받았던 한해로 생각이 되어집니다. 하지만 2026년 4월부터 전기+기계 법적선임이 불가함에 따라 25년도부터 채용공고를 보면 전기선임 자격자, 기계선임 자격자 별도로 채용을 올리는 경우가 최근에 보이기 시작하였습니다
전기는 무제한[2,000kw이상]이라는 선임자격이 필요합니다(전기산업기사 4년, 전기기사 2년). 소방안전관리자의 경우에는 소방 1급, 특급이상 자격을 가지신 분이 관리소장으로 지원이 가능합니다.
전기용량 1,500kw미만 연면적이 작거나 일반 10층 이하 소형빌딩의 경우에는 소방안전관리자가 관리소장이 되는 경우가 더 많은 경우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전기용량 2,000kw 이상[발전기용량 포함](전기무제한)인 경우에는 전기무제한 자격자가 관리소장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이하인 경우에는 소방안전관리자가 소장을 하는 경우가 확률적으로 높아집니다.
예외적으로 돌덩이강사가 여의도 ifc빌딩에 시설기사로 근무했을 당시 연면적 20만이 넘는 빌딩이었는데 초대형 건물의 경우에는 전기보다는 기계분야[특급]이나 소방[특급] 관리자를 관리소장으로 채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최근 의왕에 연면적 8만평 이상의 건물에 방재실장으로 채용이 되었는데 센터장으로 소방관련 경력자를 채용하였는데 소방특급을 가지신 분이었습니다. 제가 전기선임자로 근무해 보니 초대형건물의 경우 워낙 배관의 위치나 누수관리 및 화재관리가 중요하기에 기계분야 및 소방실무 담당자를 선임하는 것이 관리유지차원에서 도움이 되겠다는 생각도 해보았습니다.
여기까지 관리소장이 되기위한 자격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다면 답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GC BTS(Building Total Solution) - Daum 카페
GC BTS(Building Total Solution)
-시설관리 및 안전자료 정보공유를 통해 좀 더 효율적인 시설관리 및 역량향상에 도움을 주기위한 카페입니다. 시설기사부터 관리소장까지 좀 더 빠르고 효율적인 업무를 할 수 있게 도와주는
cafe.daum.net
'유용한 정보 > 노후대비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노블카운티 소개 (0) | 2025.03.05 |
---|---|
서울시니어스타워 (0) | 2025.03.05 |
흑염소 건강 효능 (0) | 2025.03.04 |
멀티비타민 (0) | 2025.03.03 |
당뇨 초기증상 (0) | 2025.03.02 |